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운영하나는 30대 청년.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운영하는 30대 청년이 월 수입을 공개한 뒤 악플에 시달렸다고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유튜브 채널 ‘탐구생활 - 돈이 되는 삶의 이야기’에는 ‘할아버지 할머니 유치원 만들고 월 3000만 버는 36살 사장님’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운영하는 A(36) 씨의 하루가 공개됐다.

     

    센터에서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경증, 중증 치매가 있는 어르신들을 돌본다.

     

    해당 영상에서 A씨는 “굉장히 욕을 많이 먹었다.

     

    할머니 할아버지 팔아서 돈 번다, 사회복지 하는 사람이 뭐 이렇게 돈을 많이 벌어도 되냐, 저희 어머니한테도 전화해서 너희 아들 나왔는데 이래서 되겠냐, 아들을 잘못 키웠네 등 막 되게 충격이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과정이 생략되고 결과만 이야기하는 유튜브이지 않나. 아니, 그러면 좋은 일 하면서 가난하게 살아야 하냐”고 반문했다.

     

    A씨는 85%를 국가 사회보험으로 하고, 15% 정도를 개인이 부담하는 형태로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하루 수입은 약 390만원 정도라고 밝혔다.

     

    그러나 직원 급여 및 부대 비용 등을 제외하면 실제 수익은 20%가 채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장 힘들었던 게 결국에는 직원 문제였다”며 “50~60대를 채용해서 그분들과 같이 일을 해야 하는 거다.

     

    저보다는 나이와 인생의 경험도 훨씬 많으시고 저희 어머니 같은 분들을 뽑아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굉장히 많이 겪었다”고 털어놨다.

     

    10년 전 처음 주간보호센터를 개원했을 때는 경쟁력이 크지 않아 무작정 노인정과 복지관을 찾아다니며 홍보를 했다고 한다.

     

    A씨는 “복지 마인드와 사업자 마인드가 동시에 있어야 성공할 수 있지 하나라도 부족한 상황이면 안 된다”면서 “주간보호센터는 초기 투자 비용이 굉장히 높다.

     

    시니어 산업이 대세고 경쟁도 안 세고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가 망하는 분들도 많이 봤다”고 전했다.

     

     

    반응형